본문 바로가기

사는이야기

폐백 절차 및 폐백 올리는 법

반응형

폐백 절차 및 폐백 올리는 법

 

옛날 전통혼례는 처가에서 혼례를 치르고 신방을 꾸민 후 장인 장모에게 사위가 먼저 예를 올리고 나서, 신부가 시댁으로 들어가 시부모님께 폐백을 올리는 전통 풍습을 유지하였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본식이 끝난 후 시부모님께 폐백을 올리고 바로 신혼여행을 떠납니다. 그러면 신혼여행에서 돌아온 부부는 이미 폐백을 드린 집으로 들어가는게 맞지만 전통 혼례와 요즘 결혼문화가 결합하여 신부의 집에 하룻밤을 머무는 형태로 변하게 되었습니다.

 

현대의 폐백 절차가 이렇게 진행되다 보니, 시부모님이 물린 폐백상에 친정 부모님을 모셔놓고 폐백을 오리는 것이 당연하게 여겨지는 잘못된 풍습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여가를 존중하고 양가에 차이를 두지 않는다는 뜻은 좋으나 본례 폐백은 신부가 시부모님께 며느리됨을 고하는 절차로 친정 부모님께 드리는 것은 맞이 않습니다. 물론 친정 부모님께도 부부가 됨을 고하는 인사를 올려야 합니다. 그 인사는 신혼여행을 다여와 친정에 들어 정식으로 올리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폐백을 올릴 때 신랑 신부의 절을 받은 시아버지가 폐백대추를, 시어머니는 폐백포를 받아 쓰다듬는데 이는 '며느리의 흉허물을 넓은 마음으로 덮어주겠다' 는 뜻입니다. 폐백 음식으로 대추를 쓰는 데는 한 나무에서 열매가 많이 열리고, 씨가 딱 하나밖에 없는 대추처럼 자손을 많이 낳고 가문의 전통을 이어가라는 기원과 당부의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밤은 대추와 곁들이면 모양도 좋고 대추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부피도 커서 섞어 쓰는 경우가 많지만 전통 혼례에서는 쓰지 않았습니다.

 

육포와 닭을 드리는 것은 한 집안의 며느리로서 시부모님을 잘 받들어 공경하겠다는 뜻입니다. 폐백 음식은 지방과 집안마다 풍습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서울의 경우 육포와 대추고임, 술안주에 적당한 마른안주로 꾸민 구절판 등 세 가지가 기본이며, 술과 닭을 곁들이기도 합니다. 원래 서울에서는 폐백닭을 하지 않는데, 언제부터인지 폐백닭을 해 가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신부 신라의 절을 받은 시아버지는 자손번창을 기원하며 대추를 며느리의 치마폭에 던져줍니다.

 

폐백 올리는 법

폨백을 올릴 때 신랑은 관복을, 신부는 녹의홍상, 즉 빨간 치마에 녹색 저고리를 입고 위에 녹원삼이나 활옷을 덧입는 것이 전통적인 예입니다. 활옷은 원래 공주의 대례복이었으나 혼례 때는 일반인에게도 허용되었습니다. 폐백용 한복은 대개 예식장에 비치되어 있으므로 사전에 상태를 점검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신랑의 부모님들도 한복을 입는 것이 예의에 맞습니다. 시어머님은 황금당의를 입고 폐백을 받기도 합니다. 폐백 때는 반드시 신부를 도와주는 사람이 있어야 하는데 이를 '수모(手母)'라 부릅니다. 예식장에는 고정적으로 이런 도우미가 있으니 도움을 받으면 됩니다.

 

전통에 따르자면 시부모님이 앉아 계신 상에 신부가 수모의 도움을 받아 시아버님에게는 대추를, 시어머님께는 육포나 닭을 오리고 보자기를 푸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러나 요즘은 시간 절약상 미리 상을 차려 놓습니다. 폐백 보자기에 둘러져 있는 근봉도 미리 풀어놓으나 사아버님이 직접 푸는 것이 전통입니다. 신랑의 오른쪽에 신부가 서서 수모의 도움을 받아 시부모님에게 술을 따라 올리고 한 모금 드시고 난 후에는 수모를 통하여 안주를 권합니다.

 

 

폐백 절차

1. 수모가 신부를 대신해서 먼저 시아버지에게 대추가 들어 있는 폐백을 올린다.

2. 폐백을 받고 난 시아버지가 며느리에게 덕담을 해주고 근봉을 푼다.

3. 신부는 수모의 손을 빌려 시아버지에게 대추고임을 올린다.

4. 신부는 수모의 손을 빌려 시어머니에게 육포가 들어 있는 폐백을 드린다.

5. 시어머니는 며느리의 허물을 덮어준다는 뜻으로 폐백을 어루만진다.

6. 신부는 수모의 부축을 받아 네 번 절을 올린다.

7. 절을 마치고 난 신부는 수모의 손을 빌려 시부모에게 차례로 술을 따라 올린다.

8. 시부모가 술을 한 모금 마시면 수모를 통해 안주를 권한다.

9. 시아버지가 덕담을 해주면서 아들을 낳아 가계를 잘 계승하라는 의미로 며느리의 치마폭에 대추를 던져준다.

 

폐백의 범위

시조부모님이 계시더라도 시부모님에게 먼저 폐백을 올려야 하며 백부, 숙부, 시삼촌, 시고모 순으로 절을 올린 후 시누이와 시동생과는 맞절을 합니다. 요즘에는 절을 받은 어른들이 봉투에 돈을 담아 절값을 주기도 하는데 이는 전통적인 예는 아닙니다. 만약 절값을 받았다면 신혼여행 경비에 보태거나 신혼 여행지에서 친지들의 선물을 사는데 사용하면 더욱 의미가 있습니다.

반응형